[시니어 커리어 개발] '딩크리지' 기법에 따라 재취업할 커리어 선택하고, 활동 전략 수립하기 (上)

2024. 10. 22.

최근 재취업 활동을 준비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커리어를 쌓은 후에 재취업은 심리적인 장벽이 높아지는 것도 사실이다. '나에게 적합한 일을 모르겠다', '어떻게 취업활동을 진행하면 좋을지 망설이고 있다'라며, 시작조차 못하고 있는 분들도 많이 목격되고 있다.

 

그런 사람들에게 확고한 지침이 될 수 있는 커리어 이론이 있다. ‘딩크리지(Dinklage)'의 의사결정법이 그것인데, 딩크리지의 의사결정이란 미국의 여성심리학자 딩크리지(Dinklage)가 발표된 의사결정에 관한 논문에 근거하고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의 의사결정 과정은 '8가지 스타일'로 나눌 수 있고, 계획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려면 '7개 단계'를 밟게 된다. 딩크리지의 의사결정 이론은 취업활동을 비롯한 새로운 커리어를 결정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될 수 있다.

 

딩크리지가 말하는 의사결정의 '8가지 스타일'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일까? 여기에서는 8가지 스타일의 특징과 문제점, 재취업에서 원활하게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시사점을 소개해 보겠다.


 

의사결정의 '8가지' 스타일

 

(1) 연기형 

연기형이란 의사결정의 필요성은 느끼면서도 의욕을 잘 내지 못하고 행동하지 못하는 유형이다. 재취업에서 연기형은 구인을 탐색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좀 있다 찾아보자고 생각하여 결과적으로 장기간 공백이 생길 수 있다. 연기형 스타일에 해당하는 사람은 의사결정의 장점이나 의사결정을 미루는 위험 등을 한 번 냉정하게 생각해 보면, 긍정적으로 행동할 의욕이 생길 수 있다.

 

(2) 무력형

무력형이란 의사결정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장래에 대한 불안이나 자신에 대한 무력감으로부터 행동할 수 없는 유형입니다. 재취업 상황에서 무력형은 자신에게 적합한 일은 없다거나 시대의 변화에 대응할 수 없을 것 같다는 불안감으로 일을 선택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력형에 해당하는 사람은 주위에 적극적으로 상담하고, 자신의 강점이나 적합한 일을 객관적으로 가르쳐 주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3) 운명론형

운명론형이란 주위의 사물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최종적으로 운명에 몸을 맡겨 버리는 유형이다. 재취업에서 운명론형의 사람은 언젠가 기다리면 자신에게 맞는 일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일 선택에 진정성이 없는 경우도 많다. 운명론형에 해당하는 분은 자신의 의지로 커리어를 개척한 사람의 인터뷰나 체험담을 들으면 기분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4) 고뇌형

고뇌형이란 선택지를 좁히지 못하고 고민하며 좀처럼 의사결정을 내릴 수 없는 유형이다. 재취업에서 고뇌형인 사람은 자신에게 더 적합한 일이 있을 것이며, 커리어를 더욱 꼼꼼하게 생각하지 않으면 후회할 것이라고 고민하면서 재취업처를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고뇌형에 해당하는 사람은 상담하면서 불안의 근본적인 원인을 판단하여 우선 그것부터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5) 직감형

직감형이란 자신의 직감만을 근거로 의사결정을 하는 유형이다. 재취업에서 직감형의 사람은 경험상 어떤 일을 선택해야 하고, 자신의 나이로 이런 일밖에 없다고 생각해, 서둘러 결단을 내리는 경우도 있다. 직감형에 해당하는 사람은 한 번 주위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 객관적인 조언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과 다른 가치관과 경험을 가진 사람들의 의견도 참고한다면 후회 없는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6) 충동형

충동형이란 선택사항을 복수로 준비하지 않고, 처음에 찾은 길을 충동적으로 선택하는 유형이다. 재취업에서 충동형은 좋은 일을 한 건이라도 발견하면, 다른 구인을 전혀 검토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충동형에 해당하는 분은 갑자기 결단할 것이 아니라,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또한, 자신에게 맞는 일을 선택하려고 노력한다면, 납득할 수 있는 결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7) 순종형

순종형은 자기의 의지로 결정하기보다는 다른 사람이 정해주길 바라는 유형이다. 재취업에서 순종형인 사람은 부모나 친구로부터 소개받은 일을 선택했지만, 입사 후에 동기부여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순종형인 사람은 먼저 장래에 되고 싶은 모습이나 일에서 즐겁다고 느끼는 순간을 상상해보아야 한다. 자신의 희망을 밝히고 일자리를 찾는다면 후회 없는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8) 계획형

계획형이란 다음과 같이 7개 단계를 밟아 계획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유형이다.

 

 ① 결정사항의 명확화

 ② 정보수집

 ③ 선택지의 명확화

 ④ 근거평가

 ⑤ 선택지 중 최종 선택

 ⑥ 행동

 ⑦ 결정과 결과 검토

 

재취업에서 계획형은 일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자신의 커리어 비전과 대조하면서 취업처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계획형은 납득할 수 있게 다음 커리어를 선택하기 쉽다. 재취업 활동 중 방황할 때 계획형의 행동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글쓴이, 이형종 박사 (라이프플래닝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본 기사는 라이트매니지먼트(https://mpg.rightmanagement.jp)의 온라인 칼럼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재편집하고 각색한 내용임


시니어의 경험, 스타트업의 미래를 만듭니다.

재취업 전문 시니어 인재 매칭 서비스, 어테일워크

💡시니어 인재풀 등록하기 : https://www.attalework.com/

대표

정진아

Email

contact@lapllab.com

본사

서울시 중구 을지로 50, 을지한국빌딩 17층 1702호

사업자등록번호

434-86-02020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0-서울중구-1506호

유료직업소개사업등록번호

제2023-3010202-14-5-00022호

© 2020 Life Planning Lab, Inc. All Rights Reserved.

대표

정진아

Email

contact@lapllab.com

본사

서울시 중구 을지로 50, 을지한국빌딩 17층 1702호

사업자등록번호

434-86-02020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0-서울중구-1506호

유료직업소개사업등록번호

제2023-3010202-14-5-00022호

© 2020 Life Planning Lab, Inc. All Rights Reserved.

대표

정진아

Email

contact@lapllab.com

본사

서울시 중구 을지로 50, 을지한국빌딩 17층 1702호

사업자등록번호

434-86-02020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0-서울중구-1506호

유료직업소개사업등록번호

제2023-3010202-14-5-00022호

© 2020 Life Planning Lab, Inc. All Rights Reserved.